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국내 인공지능(AI) 반도체 기업들이 글로벌 진출에 필요한 레퍼런스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해외 현지 제품 실증·사업화 등을 지원하는 'AI반도체 해외실증 지원사업' 23일 한국과학기술회관에서 개최했다.
이번 사업은 국내 AI반도체 설계·제조기업과 AI 솔루션 개발 기업이 컨소시엄을 구성해 해외 기업·기관 등에서 국산 AI반도체를 탑재한 서버 또는 기기에서 AI 서비스 구동과 검증을 수행할 수 있도록 2년간 지원한다. 과기정통부는 서버형 2개 과제, 엣지형 2개 과제에 참여할 4개 컨소시엄을 지난 2월 13일부터 3월 20일까지 진행된 공모를 거쳐 선발, 심플랫폼·디텍, 버넥트·리벨리온·비투엔, 오톰·유엑스팩토리·자유로운소프트, 딥엑스·노타 4개 컨소시엄을 선정했다.
선정된 4개 컨소시엄 10개 기업은 AI반도체 설계·제조와 솔루션 분야에서 독자적인 기술력과 다양한 실적을 보유한 국내 기업으로 평가 받았다. 착수보고회에서는 선정된 4개 컨소시엄별 기업·과제의 자문으로 참여한 관세청 관계자 등이 참석해 구체적인 현지 실증계획을 공유하고, 성공적인 해외 레퍼런스 확보와 글로벌 시장 진출 확대를 위한 비전과 아이디어 등을 논의했다.
“당신의 캐릭터 브랜드, 지금 이순간에도 위조상품에 노출되고 있다”...위고페어, '몰랑이' 캐릭터 보호 [위고페어] 뉴스룸 바로가기> 박태완 과기정통부 정보통신산업정책관은 “골든타임을 놓치지 않도록 정부도 유망한 국내 기업들이 조속히 해외 레퍼런스를 확보하고 글로벌 시장을 선점할 수 있도록 지원을 확대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박지성 기자 jisung@etnews.com [위고페어] 뉴스룸 바로가기>
[칼럼]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국내 AI 반도체 기업의 글로벌 진출을 지원하는 'AI반도체 해외실증 지원사업'이 개최되었습니다. 이를 통해 국산 AI반도체를 탑재한 서버나 기기에서의 실증과 검증이 가능해지며, 2년간 4개의 컨소시엄이 선정되어 현지 실증계획을 공유하고 글로벌 레퍼런스를 확보할 예정입니다. 이는 국내 기업의 기술력과 경쟁력 강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과기정통부는 국내 기업들의 성공적인 해외 진출을 지원하기 위해 계속해서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캐릭터 브랜드의 위조를 방지하는 노력 또한 중요한 이슈로 부각되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도 적극적인 보호와 대책 마련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