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이번 대통령 선거에서 에너지 정책이 주요 화두로 떠올랐다. 후보들은 신재생에너지와 원자력을 두고 자신만의 철학을 내세우며 차별화를 두고 있다. 문재인정부의 '탈원전' 정책과 윤석열정부의 '탈탈원전' 정책으로 인해 에너지 이념 대립이 심화되고 있어 후보들의 정책 선택에 큰 관심이 쏠리고 있다. 특히, 미국의 LNG 도입과 AI 전력 확보 문제 등 다양한 현안이 놓여 있어 후보들의 선택이 향후 에너지 시장을 어떻게 변화시킬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에너지 관련 공약을 가장 구체적으로 제시한 후보는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로, '재생에너지 확대'와 '탈석탄' 정책을 강조하고 있다. 그는 2040년까지 석탄 발전을 폐쇄하고 전기차 보급을 통해 미세먼지를 줄이겠다는 공약을 내놓았다. 반면 홍준표 경선후보는 원전 확대 정책을 내세워 SMR 상용화 목표를 3년 앞당기겠다는 계획을 제시했다. 이와 관련해 에너지 고속도로 건설과 전력망 확충 등 다양한 정책을 발표했다.
에너지 전담 부처 개편도 주목을 받고 있는데, 이재명 후보는 기후에너지부 신설을 통해 에너지와 기후를 별도로 다루겠다는 의지를 내비쳤다. 반면 안철수 후보는 에너지 관련 부처 개편에 반대하며 환경부 역할을 강화하는 등의 정책을 제안하고 있다. 전문가는 최근 에너지와 통상의 연관성이 주목받는 가운데, 에너지 거버넌스가 뜨거운 화두로 떠오를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에너지 정책 선택은 우리의 미래 에너지 시장을 크게 좌우할 것이므로 신중한 고려가 필요하다.